은행은 보통 석 달 이상 이자를 받지 못한 대출을 부실채권으로 분류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잔액이 10조 천억 원으로, 석 달 전보다 4천억 원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대출 채권 가운데 부실 채권이 차지하는 비율도 0.4%로 전 분기 말보다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이 분기별로 발표하는 부실채권이 증가한 건 2020년 1분기 이후 2년 아홉 달 만입니다. <br /> <br />기업이 부실채권의 대부분을 차지해 어려운 경제 상황을 보여줬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자들을 옥죄는 고금리의 여파가 조금씩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재갑 / 금감원 은행감독국 건전경영팀장 : 지속 감소해온 부실채권 잔액이 증가세로 전환되었습니다. 최근 들어 22년 하반기 중에 연체율도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향후 기업 가계 취약 부문의 신용 손실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.] <br /> <br />부실채권에 대비해 은행이 피해를 덜 볼 수 있도록 한 대손 충당금적립률은 227.2%로, 지금껏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최대급 대출 규모에도 정부가 국내 은행을 비교적 건전하다고 보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대형 은행을 제외하면 안심하긴 이릅니다. <br /> <br />지방은행과 인터넷 은행의 경우, 시중은행에 비해 부실채권 잔액도, 비율도, 가파르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시장 부진으로 부실 우려가 커진 부동산 PF 대출 채권이 제2금융권에 집중된 점도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업종별 여신 한도 제한이 없는 새마을금고는 최근 3년 새 건설·부동산업 대출 잔액이 2배로 늘었는데 연체율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온기가 남아있는 코로나 만기 연장이나 이자 유예 등의 정책 효과가 완전히 가시고 나면 대출 부실이 더 급격히 드러날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32219002936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